총 94페이지

11페이지 본문시작

학생 생성 교육과정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대한민국은 대전환의 시대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 맞고 있다
. 4
차 산업혁명 시
대의 우리 교육은 복잡성 불확실성 변화와 모호성이 증폭되는 미래 사회를 살아갈
,
,
학생들이 삶에서 당면할 문제를 헤쳐 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제안과 개선을 시도하고
있다
.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핵심역량을 통하여 지식과 기능의 습득을 넘어 학생의


역량을 길러주고자 하였다
. 2024
년부터 적용될
2022
개정 교육과정 역시 학생 역량
함양에 중점을 두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으로 제시한 자주적인 사람은 새 교육과정


에서 자기주도적인 사람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핵심역량 중 하나였던 의사소통 역


.

량은 새 교육과정에 협력적 소통 역량으로 대체되었다 행위 주체성 또는 주도성으



.
로 번역되는
‘Agency’
에 대한 교육 담론이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새 교육과정은
.
학생의 행위 주체성과 타자 및 공동체와의 협력을 역량 함양의 방법으로 삼고 있다.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연구는 새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주
도성과 역량의 관계를 학습 나침반이라는 은유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나침반이 여행


.
자에게 방향을 알려주듯 학습 나침반은 우리가 원하는 미래를 향해 나아가기 위한 여
정을 안내한다
. OECD
학습 나침반
2030
은 학생들이 환경과 일상생활의 변화를 어떻
게 주도적으로 헤쳐나갈 수 있는지를 시사한다 더불어 건강
.
(Well-being)
한 미래 사회
로 개인과 공동체가 함께 나아가는 데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및 가치가 어떻게 역
,
,
량 함양의 기반을 제공하는지를 보여준다.
새 교육과정은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대강화하고 지역화 및 단위학교의 자율성을
중시한다 지역과 학교의 특색에 맞는 교육과정 정책 운용의 방안으로
.
2021
학년도
부터 경상북도교육청의 전 초등학교는 학생 생성 교육과정을 실시하고 있다 학생
.
생성 교육과정은 학생이 주도적으로 자신의 배움을 계획하고 실행하며 성찰하는

교육과정이다 학생 생성 교육과정은 학생의 삶과 연계한 학습을 통하여 학생 역

.
량과 주도성의 신장을 궁극적으로 추구한다 학교수준 교육과정의 자율화를 촉진하
.
여 다양성과 풍부함을 증진하고자 하는 정책적 노력의 산물이다.
학생 생성 교육과정은 도입 이후 운영 초기 단계에 있기에 운영 방식의 체계적 정립
- 1 -

11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