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4페이지

12페이지 본문시작

학생 생성 교육과정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이 필요하다 본 정책에는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학생 생성 교육과정의 합이 학교수준
.
교육과정이라고 바라보는 관점이 반영되어 있다 교육 현장은 필연적으로 학교수준
.
교육과정의 기존 운영 방식에 학생 생성 교육과정이라는 새로운 시도를 해야 하는 부
담을 안을 수밖에 없다.
학생 생성 교육과정의 목적과 운영 방법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목적 및 방향성
,
OECD
학습 나침반이 제시하는 역량과 주도성 함양의 방법과 일치한다 이에 본 연구
.
는 학생 생성 교육과정의 도입 취지가 교육 현장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학생 생성 교
육과정 운영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학생 생성 교육과정에 영향을 준
2022
개정 교육과정
,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이해중심 및 개념기반 교육과정과 같은 교육과정 설계
프레임워크 등을 분석하여 운영 방식을 체계화할 예정이다 이를 통하여 정책의 도입
.
단계에서 교사와 학생이 느끼게 될 부담과 혼란을 감소시킴으로써 정책의 현장 운영
을 활성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생 생성 교육과정에 대한 도내 교원의 인식 및 운
.
영 실태 조사를 계획하고 있다 정책이 잘 구현된 구체적 사례를 통하여 성공적 운영
.
의 방안을 도출하며 도입 단계에서 야기된 현장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적절한 해결책
,
을 제안함으로써 현장의 교사들을 지원하는 방안을 내놓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 생성 교육과정 운영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연
.
구 결과를 통하여 학생 생성 교육과정의 체계적인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 교사가
,
교육과정 개발자의 소임을 할 수 있도록 교육 현장을 지원하는 정책을 구안할 것이
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학생 생성 교육과정이 학생의 역량과 주도성을 신장하는
.
자율적인 학교수준 교육과정으로 공고히 설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
.
주요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교육청 차원의 학생 생성 교육과정 운영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
?
둘째 단위학교 차원의 학생 생성 교육과정 운영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학생 생성 교육과정의 운영 체계성을 강화하고 교육 현장을 지원함으로써 학생 생
- 2 -

12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