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8페이지

19페이지 본문시작

실천 중심의 독도 교육 운영 방안
최보영
(2020)
은 역사 교육에서 사료학습은 선택이 아닌 필수임을 역설하면서 독도
가 한국의 영토임을 강조하면서 반복되는 기존의 평면적인 독도교육 방식에서 벗어
나기 위한 방안으로 사료 학습을 제시했다.
김미경
(2019)
은 교실 밖 교육현장을 답
5)
사하는 경험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실질적 체험활동을 강조했다.
6)
독도 교육이 범교과 학습 주제로 설정되며 여러 과목교과와 통합 및 융합한 수업

의 아이디어를 제시한 연구가 있다 김외순
.
(2014)
은 교과와 예술을 통합하여 수행된
독도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예술 통합 교육의 교육적 의미를 논했다.
이두현‧
7)
박희두
(2015)
는 프로젝트 학습 기반의 융합인재 교육 방법으로 독도라는 주제를 통
해 융합적 원리와 과정을 탐구하고자 했다 독도 지속가능 발전 공간 만들기 프로
.
젝트를 주제로 선정한 다음 한국지리 법과 정치 한국사 물리 공업 수학 미술
,
,
,
,
,
,
,
화법과 작문을 대표 과목으로 선정하여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융합을 시도하였다.
8)
안운호
(2020)
는 사회과의 융합교재를 제작하여 수업 적용 방안을 연구하였다 한국
.
사 교과서의 내용 분석 독도 활동 교재의 분석 융합적 독도 교재의 개발을 통해
,
,
한국사 교과 교육활동에 적용하고 평가의 과정을 거쳤다.
9)
5) 최보영
, 2020,

고등학교 한국사 수업의 사료학습 일본 측 독도 영유권 근거 사료를 중심으로
-
」 『
,

사교육연구』
6) 김미경
, 2019,

우리나라 독도 교과지도 현황 및 독도 교과 지도 개선책
」 『
,
한국도서연구

7) 김외순
, 2014,

교과와 예술을 통합한 수업의 실제

독도 프로젝트 사례 중심으로
」 『
,
한국초등미술
교육학회』
8) 이두현박희두

, 2015,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지리학 중심 융합인재교육
(G-STEAM)
교수학습 현장
적용
-
독도 지속가능발전 공간 만들기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
한국사진지리학회지

9) 안운호
, 2020, 「
효과적인 독도 교육을 위한 사회교과의 융합 교재 제작과 수업 적용 방안 연구


등학교 체험 중심 독도 교재 제작과 한국사 학습에서의 적용을 중심으로
」, 『
영토해양연구

- 8 -

19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