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3페이지

79페이지 본문시작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학교 단위 역량 교육과정 방안 초등 연구
(
)
가 역량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적용 현황
.
첫쩨 학교 교육과정에 역량을 반영하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편
,
이다. 국가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역량의 개념을 대부분 이해하고 있으나 역량의 총
,
체성보다 개인의 태도나 자질 등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었다. 대체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핵심역량 교과 역량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역량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인
,
지하고 있으나 역량을 학교 교육과정으로 실현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알지 못했다
,
.
둘째 학교가 역량 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다고 대부분 인식하지만 학년이나 교
,
,
사 수준의 역량 교육과정인 경우가 많았다. 국가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을 학교의 상
황에 따라 재개념화하여 학교 교육 목표 수준으로 교육과정에 적용한 경우가 대부
분이었으며 실제 적용에서는 성취기준 중심의 교과 수업이 많았고 적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학교 교육과정의 역량 교육 적용 여부에 년
.
5
~20
년 경력의 교사들
이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학교 수준에서 핵심역량을 교육과정
.
을 재구성한 경우보다 학년이나 학급 수준에서 핵심역량에 따라 역량 교육과정을
적용한 경우가 많았다.
셋째 역량 교육 관련 전문성 개발과 역량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 경험이 부족
,
하였다. 절반 정도의 교원이 지난 년간 역량 교육과 관련한 직무연수 경험이 없었
5
으며 장학 자료를 제공받은 적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연수 참여자 중 참여 횟수 역
,
.
시 회 이하 연수 이수 시간도
1
,
10
시간 미만인 경우가 많았다 교원들이 필요로 하
.
는 가장 필요로 하는 연수는 역량 교육의 실천 사례가 가장 많았으나
, 5

~15

경력의 교사들은 역량 교육의 필요성과 적용 방법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시 지역
.
의 교원들이 읍면 지역의 교원보다 연수 참여율과 장학 자료 접근성이 부족한 것으
로 나타났다.
넷째 체계적인 역량 교육과정 추진 로드맵을 마련하고 역량 교육에 집중할 수
,
있는 교원의 업무 경감 및 효율화를 요구하였다. 역량 교육과정을 학교가 운영하는
데 가장 큰 장애 요인은 역량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 경험의 부족 역량 교육과 현
,
교육과정의 연관성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원들은 교육청이
.
학교의 역량 교육과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역량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로드맵을 마련해야 하고 단위 학교에서는 교원들이 역량 교육에 집중할 수
,
있도록 업무를 경감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인식하였다.
69

79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